얼마 전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 블로그를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 드렸습니다.
이번에는 구글에 네이버와 마찬가지로 웹마스터 도구를 이용하여 블로그를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블로그를 어느정도 운영해 보신 분들은 알겠지만 국내 블로그 유입률의 80% 이상이 네이버에서 유입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네이버에만 집중할 수는 없습니다.
그 이유는 첫째, 자주 변경되는 네이버 검색 로직에 언제까지 의존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약 2017년 후반부터 네이버 검색 로직에 큰 변화가 있었는지 그 쯤에 네이버 접속률이 현저히 줄어든 블로그가 상당히 많은 것으로 기억합니다.
하루에 네이버 유입이 몇천, 몇만씩 유지하던 티스토리 블로그들이 그 쯤에 접속자가 많이 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실제로 네이버에 키워드 검색을 해봐도 이제 티스토리(tistory) 보다는 네이버 블로그가 대부분 상위 노출이 되고 있습니다.
둘째, 특별한 이유 없이 저품질이 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구글에도 등록하여 대비 하자는 이유에 있습니다.
물론 다른 포털 사이트도 미리 등록해 두면 좋지만 요즘은 네이버 만큼이나 국내 인터넷 사용자들이 구글을 많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구글 웹마스터 도구에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먼저 알아 보겠습니다.
물론 당연히 구글 계정에는 가입이 되어 있어야 겠지요?
#1. 구글에 접속하여 웹마스터도구를 검색하여 접속합니다.
#2. Google Search Console 사이트에 접속 하면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좌측 상단쯤에 속성 부분을 클릭하여 속성 추가를 시작합니다.
(구글은 사이트 개념을 속성이라고 하는 듯 보입니다.)
#4. 속성 추가 팝업이 뜨면 나의 사이트 주소(블로그 주소)를 입력하고 계속 버튼을 클릭합니다.
#5. 사이트의 경우 권장 확인 방법인 HTML파일을 올리는게 더 간편하지만 우리는 블로그를 등록하기 때문에 다른 확인 방법에 있는 HTML 태그를 선택하여 1번에 있는 메타태그를 복사해 줍니다.
#6. 이제 자신의 블로그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하여 좌측 스킨편집 메뉴로 들어갑니다.
#7. 스킨편집 메뉴 우측에 html편집 버튼을 눌러 줍니다.
#8. HTML 편집창이 나오면 적당한 위치에 아까 복사한 메타태그를 붙여 넣은 후 적용 버튼을 눌러 줍니다.
#9. 다시 구글 웹마스터 도구로 돌아와서 팝업의 확인 버튼을 눌러 줍니다.
#10. 메타태그가 정상적으로 입력되었다면 위와 같이 소유권 확인 팝업이 나타납니다.
#11. 속성으로 이동해 보면 정상적으로 블로그가 등록된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추가를 했다고 바로 사이트가 수집되는 것이 아니라 구글 봇이 순차적으로 등록된 사이트를 돌기 때문에 데이터가 수집될 때 까지 실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몇시간에서 몇일을 기다리다 보면 정상적으로 수집이 된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을 겁니다.
수집이 되면 그 때 다시 관련하여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블로그이야기 > 운영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블로그 이전 발행 글 링크 삽입 방법(플러그인 사용법) (2) | 2019.01.21 |
---|---|
구글 웹마스터 도구에 티스토리 블로그 사이트맵(sitemap.xml) 간단한 등록 방법 (0) | 2019.01.20 |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 블로그(사이트) 추가/등록 방법, 네이버 검색 노출 방법 (2) | 2019.01.20 |
사이트맵(sitemap.xml)파일 생성 방법과 티스토리 블로그 싸이트맵 등록 방법 (0) | 2019.01.20 |
블로그 이미지 하이라이트(테두리, 그림자 효과) 주기 (css box-shadow) 블로그 가독성 높이기 (0) | 2019.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