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나 사이트를 만들거나 운영하는 가장 큰 이유는 아마도 누군가 내가 작성한 글을 읽고 같이 공감하고 공유하고 싶은 이유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게 광고가 될 수도 있고 정보를 전달하는 글일 수도 있겠죠.


이처럼 열심히 글을 작성하였지만 누군가 찾아 오지 않는다면 글을 작성하는 사람 입장으로 그처럼 힘이 빠지는 일은 없지 않을까요.


때문에 많은 블로거들이 네이버, 구글, 다음과 같이 포털 사이트에 내 글이 키워드 검색에 노출되기를 바랄 것입니다.


하지만 막연히 글을 작성한다고 해서 키워드 검색에 노출될까요?

(물론 티스토리의 경우 별다른 작업 없이 글만 작성해도 다음 포털의 키워드 검색에 노출된다.)


오랜 시간이 지나면 언젠가 크롤러 봇이 내 사이트를 찾아 정보를 수집하긴 할테지만 그보다 빠른 방법이 있다면 블로거 입장에서 마다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 방법은 바로 각 포털 사이트의 웹마스터 도구라는 곳에 내 사이트를 등록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해당 포털 사이트의 웹 크롤러 봇이 미리 내 블로그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가 글이 등록되면 바로바로 수집해 가게 되는 것이죠.


그럼 보다 빨리 포털사이트의 키워드 검색 시 내 글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그 중 가장 대표적인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 내 사이트나 블로그를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그 전에 네이버에 가입이 되어 있어야 겠죠?

(네이버 가입에 대해서는 따로 설명 드리지 않고 가입되어 있다는 조건하에 설명 드리겠습니다.)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접속 방법


 #1. 우선 네이버에 접속하여 "네이버 웹마스터도구"를 검색하여 접속합니다.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로그인


 #2.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싸이트 우측 상단의 로그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사이트 추가 방법


 #3. 로그인 창이 나오면 로그인 후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자신의 사이트 주소를 입력 후 추가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사이트 소유 확인 방식


 #4. 사이트 소유 확인은 3가지 방법 중 한가지를 선택하면 되며 블로그의 경우 "HTML 태그" 방식을 선택 후 메타 태그 부분의 파란 부분을 복사 해 줍니다. 

(사이트를 등록 하실 경우엔 HTML파일 업로드 방식이 더 간편합니다.)




스킨편집 메뉴 선택


 #5. 이제 자신의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하여 좌측 스킨편집 메뉴를 선택해 줍니다. 




html편집 하기


 #6. 스킨 편집 페이지 우측에 있는 "html편집" 버튼을 눌러 줍니다. 




매타태그 삽입 및 적용


 #7. HTML편집 화면이 나오면 아까 복사한 매타태그를 적당한 위치에 넣은 후 적용 버튼을 선택 해 줍니다. 




사이트 소유 확인


 #8. 다시 네이버 웹마스터도구로 돌아와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소유 확인 팝업


 #9. 본인의 매타태그를 잘 입력하였으면 위와 같은 팝업이 뜨며 소유 확인이 완료 됩니다. 




연동 사이트 목록


 #10. 같은 방식으로 https, http 주소를 둘 다 등록해 주시면 좋습니다. 




이상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 자신의 사이트, 블로그 주소를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혹시 잘 안되시거나 궁금하신 부분이 있다면 댓글 남겨 주세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