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를 운영하다 보면 자신의 블로그가 포털 사이트에 상위 노출을 하기 위해 알아 보다 보면 사이트맵이란걸 만들어 줘야 할 경우가 생깁니다.
사이트맵(sitemap)이란 내 사이트의 이정표이자 사용자(접속자)가 접근 가능한 주소(url)의 목록을 말합니다.
바꿔 말하면 웹 크롤링 봇이 내 사이트에 접근하여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목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때문에 웹 크롤링 봇이 보다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나의 사이트나 블로그의 정보를 접근하여 수집하게 하기 위해서는 아무래도 사이트맵이 있는 것이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각 포털 사이트에서는 웹마스터 도구를 통해 사이트맵을 등록할 수 있도록 제공하기도 합니다.
각 포털 사이트 웹마스터 도구에 사이트맵을 등록하는 방법은 다음시간에 하나하나 다루도록 하고 오늘은 이러한 사이트맵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1. 구글에 접속하여 "sitemap generator"를 입력하면 사이트맵을 생성할 수 있는 수많은 사이트가 나옵니다.
(저는 이 중 web-site-map.com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접속 주소 : http://www.web-site-map.com/
#2. 자신의 사이트 주소나 블로그 주소의 도메인을 입력 후 Get free XML Sitemap 버튼을 선택합니다.
#3. 정보 입력/선택 창이 나오면 자신의 원하는 수집방법을 선택 후 Create free XML Sitemap 버튼을 눌러 줍니다.
(잘 모르시면 그냥 저와 같이 설정 후 진행해 주세요.)
#4. url 수집이 시작하면 위와 같이 xx pages processed가 뜨며 다 수집될 때까지 기다려 주시면 됩니다.
#5. 수집이 완료 되면 COMPLETED가 뜨며 바로 아래 download yout Sitemap를 눌러 주시면됩니다.
(글이 많을 수록 수집이 오래 걸리니 시간을 갖고 기다려 주세요.)
#6. 이제 Sitemap.xml를 다운받을 수 있는 페이지가 뜨고 download를 눌러 주시면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생성된 사이트맵(Sitemap.xml) 파일은 자신의 사이트나 블로그에 위치하여야 그 효력이 있습니다.
일반 사이트의 경우엔 자신의 호스팅에 이 sitemap.xml파일을 FTP를 통해 업로드하여 간단히 해결 할 수 있지만 티스토리 블로그의 경우 FTP형태로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아래와 방법과 같이 업로드 해 주셔야 합니다.
#1.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하여 글쓰기 버튼을 눌러 줍니다.
#2. 적당히 제목을 입력하고 제목아래 파일 아이콘을 눌러 생성한 sitemap.xml파일을 선택 후 등록해 줍니다.
#3. 글에 첨부 파일이 추가 된 것을 확인 후 글을 비공개로 변경 하여 발행합니다.
#4. 등록된 글을 선택하여 블로그 글로 이동합니다.
#5. sitemap.xml파일에 마우스를 올리고 우측 클릭하면 링크 주소 복사가 뜨고 이걸 누르면 자신의 sitemap.xml 위치가 복사됩니다.
(이 후 웹마스터 도구에 xml파일 경로 등록 시 이 주소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상 sitemap.xml파일 생성 방법과 티스토리 블로그에 사이트맵을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다음에는 이 사이트맵 파일을 네이버, 다음, 구글, 빙 등의 포털 사이트에 등록 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블로그이야기 > 운영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웹마스터 도구에 티스토리 블로그(사이트) 추가/등록 방법, 구글 검색 노출 방법 (0) | 2019.01.20 |
---|---|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 블로그(사이트) 추가/등록 방법, 네이버 검색 노출 방법 (2) | 2019.01.20 |
블로그 이미지 하이라이트(테두리, 그림자 효과) 주기 (css box-shadow) 블로그 가독성 높이기 (0) | 2019.01.20 |
티스토리 포스트 주소(숫자, 문자) 변경 방법 및 SEO(검색엔진최적화) 영향과 유입률 변화 (0) | 2019.01.19 |
티스토리(tistory) 블로그 스킨 변경 방법(반응형 블로그 만들기) (0) | 2019.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