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웹마스터 도구에 사이트를 등록했다고 모든 것이 끝난 것은 아닙니다.
좀 더 구글 검색 로봇이 나의 사이트의 정보를 정확히 빠짐없이 가져가도록 하기 위해서 사이트맵(sitemap) 등록은 매우 중요합니다.
구글 검색 로봇 뿐 아니라 대부분의 웹 크롤링 로봇들이 사이트를 잘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몇가지 요소가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사이트맵(sitemap.xml)이 있는가?
2. RSS를 제공하는가?
3. robots.txt 설정에 문제가 없는가?
첫째로 사이트맵이란 것은 나의 사이트의 url모음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때문에 사이트 맵이 있으면 검색봇이 한눈에 수집할 위치를 알 수 있게 되어 더 명확히 수집 항목을 알 수 있습니다.
둘째로 RSS는 내 사이트의 최신 글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입니다.
RSS파일이 존재한면 검색봇 입장에서 최신 정보를 더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입니다.
셋째로 robots.txt 파일의 설정입니다.
아무리 다른 것들이 잘 구성되어 있어도 실제 robots.txt파일에 설정에 따라 아예 검색봇이 접근을 못할 수도있고 필요한 위치만 접근하게 할 수도있습니다.
때문에 robots.txt파일 설정도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티스토리 블로그의 경우 기본적으로 robots.txt파일이 아주 잘 설정되어있기 때문에 이 부분은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간단하게 설명한다고 적었는데도 서두가 너무 길어진 느낌이네요.
다음에 기회가 된다면 각 항목별로 더 자세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구글 웹마스터 도구에 사이트맵(sitemap.xml) 파일을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우선 sitemap.xml파일은 생성하여 블로그에 올렸다는 가정하에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아직 sitemap.xml파일을 생성/등록하지 않았거나 등록했던 사이트맵 URL이 기억나지 않는다면 아래 링크를 먼저 확인 후 이어서 진행해 주시면 됩니다.
#1. 구글에 웹마스터 도구를 검색하여 접속 합니다.
#2. Google Search Console를 시작합니다.
#3. 등록한 속성(사이트)을 선택 후 좌측 Sitemaps 메뉴를 선택합니다.
#4. 미리 복사해 두었던 내 사이트의 사이트맵 url를 붙여넣고 제출 버튼을 클릭합니다.
* URL를 붙여 넣을 시 앞에 도메인 부분이 중복 될 수 있으니 확인 후 제출 하세요.
#5. 정상적으로 제출이 되었다면 위와 같은 팝업이 나타납니다.
오늘은 구글 웹마스터 도구에 사이트맵을 제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혹시 잘 안되시거나 궁금하신 점 있다면 댓글 남겨 주세요.
'블로그이야기 > 운영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블로그 반응형웹 스킨 사용시 주의 사항 (0) | 2019.01.21 |
---|---|
티스토리 블로그 이전 발행 글 링크 삽입 방법(플러그인 사용법) (2) | 2019.01.21 |
구글 웹마스터 도구에 티스토리 블로그(사이트) 추가/등록 방법, 구글 검색 노출 방법 (0) | 2019.01.20 |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 블로그(사이트) 추가/등록 방법, 네이버 검색 노출 방법 (2) | 2019.01.20 |
사이트맵(sitemap.xml)파일 생성 방법과 티스토리 블로그 싸이트맵 등록 방법 (0) | 2019.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