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배경색과 내가 추가하려는 이미지의 색상이 같을 경우 그 경계가 구분이 모호해서 글을 읽기가 불편할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저와 같이 흰색 배경을 한 블로그라면 더욱 느끼셨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매번 이미지에 선을 그려 넣을 수도 없고, 글을 쓸때마다 html를 수정하여 이미지에 효과를 주기도 난감한 상황입니다.
만일 그렇게 한다고 해도 이전에 작성한 글들까지도 일일히 수정하기도 난감하고 글쓰는거 보다 이미지 작업이 더 번거로워 질 수도있습니다.
아래 이미지처럼 블로그를 할 때 흰색 이미지를 특히 많이 쓰게 되는데 이게 글인지 이미지 인지 어디까지가 설명이고 어디까지가 이미지 인지 한눈에 구별하기가 애매하시죠?
(한눈에 글과 이미지의 경계가 구분되지 않아 애매한 감이 있다.)
물론 이렇게 까지 신경을 쓰지 않는 블로거들도 많겠지만 그래도 조금이나마 찾아 오는 방문자에게 보다 가독성 있는 글을 전달하고 싶을 블로거들을 위해 이 글을 바칩니다.
#1. 우선 블로그 관리자 페이지로 들어가 좌측 중간쯤에 있는 스킨편집 메뉴를 선택한다.
#2. 스킨 편집 페이지가 뜨면 우측에 있는 html편집 버튼을 선택한다.
#3. html편집 창이 뜨면 상단의 "CSS"를 선택한다.
#4. CSS 수정 창이 뜨면 아래와 같이 코드를 추가 후 적용 버튼을 눌러 준다.(코드 위치는 상관없다.)
.article img{box-shadow: 1px 1px 10px 1px #cccccc;}
해석 : article이라는 class안에 있는 모든 이미지(img)에 그림자효과(box-shadow)를 넣는다.
속성에 1px 1px 10px 1px #cccccc 는 차례로 아래와 같은 의미이다.
{X오프셋 Y오프셋 블러반경 퍼짐반경 색상}
혹시 선만 넣고 싶은 분은 아래와 같이 해 주면 된다.
.article img{border: 1px solid #cccccc;}
{선두께 선속성 색상}
#5. 변경 전과 변경 후의 이미지를 보면 이미지 경계가 뚜렷해 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티스토리는 이 밖에도 자신이 원하는 대로 스타일을 변경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좀 더 다양한 효과를 내거나 더 알고 싶으신 분은 html, CSS를 공부 하시면 됩니다.
나름 자세히 쓴다고 썼는데 그래도 이해가 잘 가지 않거나 잘 안되시는 분은 댓글 남겨 주세요.
'블로그이야기 > 운영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 블로그(사이트) 추가/등록 방법, 네이버 검색 노출 방법 (2) | 2019.01.20 |
---|---|
사이트맵(sitemap.xml)파일 생성 방법과 티스토리 블로그 싸이트맵 등록 방법 (0) | 2019.01.20 |
티스토리 포스트 주소(숫자, 문자) 변경 방법 및 SEO(검색엔진최적화) 영향과 유입률 변화 (0) | 2019.01.19 |
티스토리(tistory) 블로그 스킨 변경 방법(반응형 블로그 만들기) (0) | 2019.01.19 |
블로그 이미지 도용방지용 워터마크(watermark) 넣는 방법 (0) | 2019.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