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배경색과 내가 추가하려는 이미지의 색상이 같을 경우 그 경계가 구분이 모호해서 글을 읽기가 불편할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저와 같이 흰색 배경을 한 블로그라면 더욱 느끼셨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매번 이미지에 선을 그려 넣을 수도 없고, 글을 쓸때마다 html를 수정하여 이미지에 효과를 주기도 난감한 상황입니다.


만일 그렇게 한다고 해도 이전에 작성한 글들까지도 일일히 수정하기도 난감하고 글쓰는거 보다 이미지 작업이 더 번거로워 질 수도있습니다.


아래 이미지처럼 블로그를 할 때 흰색 이미지를 특히 많이 쓰게 되는데 이게 글인지 이미지 인지 어디까지가 설명이고 어디까지가 이미지 인지 한눈에 구별하기가 애매하시죠?



가독성이 떨어지는 블로그


(한눈에 글과 이미지의 경계가 구분되지 않아 애매한 감이 있다.)




물론 이렇게 까지 신경을 쓰지 않는 블로거들도 많겠지만 그래도 조금이나마 찾아 오는 방문자에게 보다 가독성 있는 글을 전달하고 싶을 블로거들을 위해 이 글을 바칩니다.




스킨편집 메뉴 선택


 #1. 우선 블로그 관리자 페이지로 들어가 좌측 중간쯤에 있는 스킨편집 메뉴를 선택한다. 




html편집 버튼 선택


 #2. 스킨 편집 페이지가 뜨면 우측에 있는 html편집 버튼을 선택한다. 




CSS 수정 선택


 #3. html편집 창이 뜨면 상단의 "CSS"를 선택한다. 




CSS 추가 후 적용 버튼 선택


 #4. CSS 수정 창이 뜨면 아래와 같이 코드를 추가 후 적용 버튼을 눌러 준다.(코드 위치는 상관없다.) 


.article img{box-shadow: 1px 1px 10px 1px #cccccc;}

해석 : article이라는 class안에 있는 모든 이미지(img)에 그림자효과(box-shadow)를 넣는다.

속성에 1px 1px 10px 1px #cccccc 는 차례로 아래와 같은 의미이다.

{X오프셋 Y오프셋 블러반경 퍼짐반경 색상}


혹시 선만 넣고 싶은 분은 아래와 같이 해 주면 된다.

.article img{border: 1px solid #cccccc;}

{선두께 선속성 색상}




가독성이 높은 블로그


 #5. 변경 전과 변경 후의 이미지를 보면 이미지 경계가 뚜렷해 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티스토리는 이 밖에도 자신이 원하는 대로 스타일을 변경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좀 더 다양한 효과를 내거나 더 알고 싶으신 분은 html, CSS를 공부 하시면 됩니다.


나름 자세히 쓴다고 썼는데 그래도 이해가 잘 가지 않거나 잘 안되시는 분은 댓글 남겨 주세요.


티스토리는 2가지 형태로 블로그 포스트 주소를 변경 할 수 있습니다.


바로 숫자 or 문자 방식입니다.


숫자로 할 경우 블로그 주소 뒤에 1부터 시작해서 글 수대로 숫자가 증가하고, 문자로 할 경우 블로그 주소 뒤에 제목이 붙는 형태로 나타납니다.


많은 분들이 포스트 주소에 따른 SEO(검색 엔진 최적화)가 어떨지 어떤 주소를 사용해야 검색어에 잘 걸려서 유입률이 늘어날지에 대해 말도 많고 많이 궁금해 하시기도 합니다.


구글의 경우 키워드 검색 시 주소에 검색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으면 검색 노출에 더 유리하다고 하여 문자로 선택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하지만 다음이나 네이버의 경우 주소가 한글로 제대로 나오지 않고 "%EC%9B%8C%EB%"와 같은식으로 변형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오히려 악영향을 끼친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실제 네이버에서 키워드를 검색해 보면 검색 결과에 나오는 티스토리 블로그들 대부분이 숫자형태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구글에서도 키워드 검색을 해보면 검색 결과에 문자형보다 숫자형 티스토리 블로그들이 많이 눈에 띕니다.

(왜인지 모르겠지만 인기있는 티스토리 블로그는 대부분 숫자형태가 많습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숫자형이냐 문자형이냐 보다는 블로그가 얼마나 더 검색봇에 맞게 최적화 되어있는지가 더 중요해 보입니다.


결국 숫자형으로 하든 문자형으로 하든 본인의 선택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참고로 저는 숫자형은 택했습니다.


하지만 혹시 문자형으로 변경하고 싶으신 분들을 위해 티스토리 포스트 주소 변경 방법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관리 블로그 메뉴 선택


 #1. 블로그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해 좌측 하단에 위치한 관리 - 블로그 메뉴를 선택한다. 




주소 설정의 포스트 주소 선택 후 저장


 #2. 스크롤을 내리다 보면 주소 설정 부분이 나오며 해당 부분에서 포스트 주소를 원하는 형태로 선택 후 좌측 하단에 변경 사항 저장 버튼을 선택한다. 




주소의 경우 검색엔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너무 자주 변경 하게 되면 접속자수 유입률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니 신중히 선택 후 변경하시는걸 추천 드립니다.




티스토리 블로그의 장점중에 하나는 웹 퍼블리싱 스킬만 있다면 UI를 마음대로 수정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러지 못하는 많은 사용자들을 위해 다양한(?) 스킨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오늘은 그러한 다양한 스킨을 사용하는 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좌측 스킨변경 메뉴 선택


 #1.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하여 좌측 메뉴에서 스킨변경을 선택합니다. 




원하는 스킨 고르기


 #2. 스킨 선택 화면이 나오면 원하는 스킨을 골라 봅니다. 

(저는 반응형 스킨으로 하고 싶어서 우측 상단 보기에서 반응형을 선택하여 골랐습니다.)




미리보기 후 적용 선택


 #3. 원하는 스킨을 골랐다면 해당 스킨의 우측 아래 "···" 메뉴를 눌러 미리 보기로 확인 후 적용을 눌러 줍니다. 




상단 변경된 스킨 확인


 #4. 상단에 사용중으로 선택된 스킨을 보면 변경된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실제 블로그로 접속 해 보아도 이전 스킨이 아닌 선택한 스킨이 적용 된 것을 바로 보실 수 있습니다.


스킨변경은 블로그의 특성이 변경되는 것이 아닌 style만 변경되는 것이니 기분에 따라 바꿔 주셔도 괜찮습니다.




워터마크란게 원래 위조를 방지 하기 위해 사용한 기술로 지폐와 같은 곳에 사용되었고 오늘날에는 디지털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렇듯 내가 직접 만든 이미지를 블로그에 넣을 경우 다른 사람들이 저작자를 밝히지 않고 몰래 가져다 사용하는 경우가 있어 많은 블로거들이 자신이 만든 이미지에 워터마크를 넣고 있습니다.


오늘은 직접 만든 이미지에 아주 간단히 워터 마크를 넣는 방법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프로그램을 받아 사용하지는 않아도 되지만 웹상에서 작업을 해야 하니 인터넷을 연결하셔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1. 구글에 접속하여 image watermark와 같이 키워드를 입력 후 해당 싸이트에 접속 한다. 

(더 좋은 싸이트가 있을 수 있지만 귀찮으시면 https://www.watermarquee.com/ 로 접속)





 #2. Start Watermarking Free 버튼을 선택한다. 





 #3. Select Photos to Watermark 버튼을 선택 하여 워터마크를 넣을 이미지를 선택한다. 





 #4. 원하는 이미지가 뜨면 하단에 Add Text 버튼을 선택한다. 

(본인 만의 로고나 워터마크 이미지가 있다면 Add Logo 버튼을 선택한다.)





 #5. 좌측의 툴을 사용하여 원하는 글씨의 위치와 크기, 투명도를 선택 후 하단의 Save 버튼을 선택한다. 





 #6. 워터마크가 들어간 이미지가 완성 되면 다시 한번 Save버튼을 눌러 다운로드를 진행한다. 




다운로드 폴더에 들어가면 생성한 이미지가 저장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워터마크를 온라인 상태서 달아 주는 싸이트들이 많이 있습니다.


찾다 보니 아래 싸이트에서는 여러 이미지를 한번에 넣을 수 있더라고요.


많은 이미지에 워터마크를 넣어야 하시는 분은 아래 싸이트를 이용하시는게 더 편하실 것 같습니다.


아래 싸이트에서도 텍스트, 이미지 모두 삽입 가능합니다.


혹 필요하신 분을 위해 주소는 이미지 아래에 남겨 놓겠습니다.






https://www.iloveimg.com/ko/watermark-image





티스토리 블로그에 글을 작성하다 보면 글이 너무 많아 지기도 하고 각기 다른 성격의 글을 생기게 되죠.


이럴 때 카테고리 별로 나누면 관리도 더 편해지고 보는 사람도 더 편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티스토리 블로그의 카테고리를 생성하고 적용/수정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알려 드리겠습니다.





 #1. 티스토리 관리자 페이지로 접속하여 좌측 메뉴에 카테고리 관리를 선택합니다. 





 #2. 카테고리 메뉴에서 카테고리 추가 버튼을 선택합니다. 





 #3. 카테고리 입력 창이 나오면 카테고리 명을 입력 후 우측에 확인 버튼을 누르고 최종적으로 아래 변경사항 저장 버튼을 눌러 줍니다. 

(수정도 같은 방식으로 진행 하시면 됩니다.)





 #4. 혹시 이전 글의 카테고리를 변경하고 싶다면 좌측 글관리 메뉴를 선택하여 글 관리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5. 글 관리 페이지에서 카테고리를 변경할 글 위에 마우스를 가져다 대면 사진과 같이 수정 버튼이 나타납니다. 





 #6. 에디터 창이 나타나면 좌측 상단에 카테고리창을 원하는 카테고리로 선택 후 하단에 발행 버튼을 눌러 줍니다. 





 #7. 최종 확인 레이어 팝업이 뜨면 발행 버튼을 선택해 주면 변경 된 카테고리 항목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를 생성하였다면 이제 글을 직접 작성할 일만 남았습니다.


티스토리에서 제공하는 에디터를 사용하여 쉽게 글작성을 할 수 있지만 혹시나 처음 티스토리를 사용하시는 분이나 UI가 헷갈리시는 분들을 위해 간단히 글작성 방법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1. 자신의 티스토리 블로그에 접속 하여 제일 하단에 관리자 버튼을 클릭합니다

(혹시 관리자가 안보이시는 분은 자신의 블로그 주소 뒤에 admin를 붙이시면됩니다.

예 : http://szinlee.tistory.com/admin)





 #2. 로그인 창이 나오면 자신의 계정을 입력하여 로그인을 합니다. 





 #3. 관리자 페이지 상단바에 있는 글쓰기 버튼이나 좌측에 있는 쓰리 버튼을 클릭합니다. 





 #4. 에디터창이 나오면 원하는 글의 제목과 내용을 작성 후 하단에 발행 버튼을 누릅니다. 

(바로 공개글을 등록 하고 싶다면 발행 전 우측 상단에 있는 공개 버튼을 클릭 후 발행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5. 정말 블로그에 등록 할지 레이어 팝업이 뜨니 저장 버튼을 눌러 줍니다. 




이제 글 작성이 완료 되었습니다.


자신의 블로그에 접속 하셔서 글이 잘 등록 되었나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혹시 로그아웃 이후에 블로그에 글이 안보인다면 관리자 페이지 글관리 페이지로 들어가 아래와 같이 비공개가 되어 있지는 않은 지 확인 후 공개로 변경해 주시면 됩니다.





2019년을 맞이하여 새롭운 마음가짐으로 시작하고자 새 블로그를 개설해 보았습니다.


블로그는 여러 포탈 사이트에서도 제공을 해주기도 하고 아니면 직접 워드프레스, 그누보드, 제로보드와 같은 설치형 싸이트를 통해 블로그를 만드시는 분도 많이 있습니다.

그 밖에 요즘에는 지킬(jekyll) 사용하여 블로그를 운영하는 개발자, 디자이너 분들도  많이 계십니다.


저도 처음에는 지킬(jekyll)을 사용하여 시작을 하려다 그래도 티스토리를 운영한 경험이 있어 조금이나마 더 익숙한 티스토리를 다시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설치형 블로그도 운영 해봣지만 호스팅 비용, 도메인 비용 등 신경써야 할 부분들이 있어 결국 다시 티스토리로 돌아왔었죠.


새롭게 시작하는 블로그의 첫글은 아무래도 티스토리 블로그를 만드는 방법이 어떨까 생각이 드네요.


이전에는 초대장 제도가 있어서 아무나 티스토리 블로그를 만들 수 없었습니다.


저도 처음 티스토리를 시작할 때 어렵게 초대장을 구했던 기억이 나는데 이후 열심히 활동해서 초대장을 나눠 주기도 했었습니다.


근데 2018년 10월 23일 이후로 12년간 유지해 온 초대장 제도를 폐지 하였습니다.


그래서 이제는 누구나 티스토리에 블로그를 생성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자 그럼 이제 간단히 티스토리에 블로그를 생성하는 방법을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1. http://tistory.com에 접속하여 가입하기 버튼을 눌러 주세요 (상단 우측에 존재합니다) 





 #2. 이용 약관 및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 하셔야 가입이 가능합니다. 

 모두 체크 후 다음 버튼을 눌러 주세요. 





 #3.운영할 블로그의 계정 정보 및 블로그 정보를 간단하게 입력 후 다음 버튼을 눌러 주세요. 

(*주의 : 이 때 입력한 이메일로 인증이 필요하므로 꼭 본인이 사용중인 이메일을 입력 해 주세요.)





 #4. 원하시는 스킨을 선택 후 스킨 적용 버튼을 누릅니다. 

(제 가입 기준으로 3개의 스킨이 제공되더군요. 맘에 들지 않아도 일단 선택해 줍니다.)





 #5. 스킨까지 선택하셨다면 가입을 위한 인증 단계입니다. 

(입력한 이메일로 인증 메일이 가며 위 그림과 같이 메일에 로그인 하여 이메일 인증하기 버튼을 눌러 주시면 됩니다.)





 #6. 이제 가입이 완료 되었습니다! 로그인 버튼을 눌러 주세요. 





 #7. 가입한 계정 정보로 다시 한번 로그인을 해 주시면 됩니다. 





 성공적으로 블로그가 개설 되었습니다.  





예전처럼 가입 정보 입력이 복잡하지도 않고 가입 절차도 이메일 인증만 거치면 되니 간단하죠.


혹시 티스토리 블로그를 만드시다 어려운 점이 있으시거나 궁금하신 점 있으셨다면 댓글 남겨 주세요.



+ Recent posts